본문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당뇨 치료
Wonkang oriental medical clinic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01 | 당뇨병의 원인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당뇨병(糖尿病)은 한의학에서 소갈(消渴) 이라 칭하며, 췌장의 랑게르한스 섬 베타 세포에서 분비되며, 혈액 속의 포도당 수치인 혈당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인슐린(Insulin) 작용의 부족에 의해서 유발된 만성 고혈당증을 특징으로 하는 탄수화물대사 장애를 말한다.
한방에서 가장 오래된 고전인 황제내경과 동의보감 등에서 이미 소갈(당뇨)를 자세히 세분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소갈은 다시 소갈(消渴) 소중(消中) 소신(消腎) 분류하거나, 또는 인체의상부의 심폐의 열에 때문에 발생하는 상소(上消), 인체의 중부 위 대장 등의 열로 인해 발생하는 중소(中消), 인체의 하부에 있는 신장 방광 등에서 발생하는 하소(下消) 로 나뉜다.
비만, 과식, 과음, 운동부족, 스트레스, 감염 등으로 열이 축적되면 심장의 열이 폐로 전이되면서 구갈이 심해지며(多飮)이를 소갈(消渴) 이라 하며. 위장과 대장의 열이 결취되어 음식물을 빨리 소화시키어 배가 잘 고프게 되며 과식을 하게 됨(多食)으로 이를 소중(消中)이라 하며, 신(腎)기가 부족하여 음식물에서 섭취한 영양분(당분)을 그대로 배출하므로 단맛(당분)의 소변을 자주보게 되며(多尿)이를 소신(消腎)이라 한다.
당뇨병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선진국병으로, 현대사회에서 과도한 스트레스와, 기름진 음식섭취 증가, 운동부족 등으로 비만이 증가하고 비만은 열량의 증가뿐만 아니라 복강내 압력이 증가하여 복강내 장기중 가장 연약한 췌장이 먼저 무너저서 체하게 되어 당뇨가 유발되는 것으로 보인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02 | 당뇨병의 증상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당뇨병 초기의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다뇨, 갈증, 식욕항진, 체중감소를 들 수 있다.
임상적인 증상으로는 위 대장의 과다한 열로 인해 식욕항진이 일어나고, 심폐의 열이 과다하여 갈증이 심하게 되며, 갈증으로 섭취된 과다한 수분배설로 다뇨가 일어나며, 소변를 통한 당의 과다한 배설은 체중 감소를 유발하게 된다.
성인 당뇨병은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인슐린저항성(insulin resistance; IR)으로 생기며, 인슐린저항성이 높을 경우, 인체는 너무 많은 인슐린을 만들어 내고 이로 인해 고혈압이나 고지혈증은 물론 심장병·당뇨병 등까지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제2형 당뇨병에서는 근육과 지방조직에서 인슐린의 증가를 알아채지 못하여, 인슐린의 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초기에는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를 늘림으로써 별다른 증상이 없지만, 췌장의 능력에 한계가 오게 되면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진단이 늦어진다. 보통 이 기간이 5년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당뇨진단 당시에 합병증이 이미 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합병증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5년 이내의 병력이 있는 당뇨환자가 치료가 더욱 용이하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03 | 당뇨병의 치료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보리와 쌀의 차이점을 보면, 당료의 치료방향을 알 수 있다. 보리는 초겨울에 심어서 겨우내 추운 한기를 머금고 축적하여 더운 여름에 열을 식힐 수 있도록 봄에 생산되며,
쌀은 봄에 심어 더운 여름 내내 열기를 머금어 축적하여 추운 겨울에 열을 낼 수 있도록 늦가을에 생산된다.
이는 우리가 어떤 음식이나 약을 선택해야하는 지표이다.
약은 적어도 질병의 성향에 반되가 되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열을 식히는 과정을 터득한 능력을 지닌 약재가 바로 당료를 치료하게 되는데, 이는 곶 심폐의 열을 떨어뜨리는 결정적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두 가지 핵심 약재 중 한 가지는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약재이고, 다른 한 가지는 열대에서 생산되어 수입한 것이다.
이 외에 신장을 보하는 약재(消腎치료약재) 간장의 인슐인 인식강화를 위한약재 등의 여섯가지 약재를 첨가하여 ‘해당탕’이라 명하였다.
이는 복용 후 3일 후부터 현저한 혈당 강하를 일으키며, 인슐린 주사를 병행하는 사람은 저혈당이 되는 위험이 있으므로 항상 주의해야 한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04 | 당뇨병의 합병증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합병증은 저항력이 부족해저서 발생하는 각종 암과, 간염 등의 각종 염증성질한 외에도, 당뇨병성망막증 등의 시력혼탁 및 눈의 실명, 만성 신부전, 말초혈관장애로 인한 수족저림증과 사지절단의 흔한 원인인 괴사로 인한 당뇨족. 동맥경화로 인한 고혈압, 뇌졸중, 심장병 등의 매우 다양한 종류의 합병증을 유발한다. 급성 합병증으로는 당뇨성 혼수를 일으키기도 한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