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이명 · 어지럼증 클리닉
Wonkang oriental medical clinic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01 | 이명(耳鳴)증 이란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이명(耳鳴)이란 외부의 소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각적으로 어떤소리가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들리는 소리는 여러가지로 경미한 바람소리, 매미 울음소리, 물 흐르는 소리, 맥이 뛰는 소리, 바람에 나뭇가지가 흔들리는 소리 등 환자등은 다양한 소리를 호소합니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02 | 이명(耳鳴)증의 한방치료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① 한방치료
한방치료방법은 원인,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른데 귀 주변의 담이나 어혈(瘀血)을 풀어 주면서 귀 주변의 기혈의 흐름을 촉진시키면서 원인을 제공한 장기의 기능을 바로 조절하여 주거나 약해진 장기를 보강시키는 식으로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약과 침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② 약물요법
흔히 쓰는 약물로는 (물론 변증, 체질에 따라서 다른데) 가미보중익기탕, 가미구비탕, 궁지산, 가미사물탕, 지황귀교탕, 평간탕, 용담사간탕, 반하백출천마탕, 방풍통성산 등을 주로 사용하며 원인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가감하여 투여하고 있습니다.
③ 침, 뜸 요법
침술요법 또한 체질에 따라 다른데 보통 귀주변의 혈자리 ‘청궁, 청회, 이문, 하관, 예풍, 풍지’등을 취하여 귀주변의 경락의 흐름을 개선시키고 원인에 따른 원위(遠位) 취혈자리를 선택하여 치료하고 있습니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03 | 어지럼증의 원인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좀 어려운 용어이지만 어지럼증의 원인을 한방에서는 풍담화(風痰火)라고 합니다.
풍이란 개념이 매우 광범위하여 설명하기 어렵지만 여기서는 머리아프고 어지럽운 개념이고, 담은 메슥거리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몽롱하고 피곤하고 눕고싶고 몸이 무거운 증상의 원인 개념이고, 화는 열의 개념으로 체액 또는 혈액을 뇌 또는 체내로 이동시키는 역할이나 덥거나 뜨거운 음식을 싫어하게 되는 원인제공자이다.
또 유형에 따라 귀속의 전정계의 기능이상 (달팽이관)이나 소뇌, 뇌간, 대뇌혈관이상(뇌졸중)등 주로 머리의 증상에 의해 평형의 이상을 느끼면서 발생되는 현기증을 말합니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04 | 어지럼증의 증상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머리가 무겁고 피곤하며 두통(주로 앞이마의 통증)이나 가슴이 두근거림 속이 메슥거림 피로감 뒷목이 당김 등과 같은 증상이 있고 눈이 침침하거나 귀가 울기도 한다. 가벼울때는 눕거나 일어날때, 또는 고개를 돌릴 때 엇찔하며 순간적 현기증과 메스거움을 느끼기도 하지만 심한경우는 졸도 실신하기도 한다. 만성의 경우 진단이나 치료 의 결과가 뚜렷하지 않으며 장기적으로 힘들고 치료도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중풍의 전조 증상으로 어지럼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특히 중풍의 위험 요소인 고혈압 심장질환 당료병 등이 있는 경우에 더욱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마비나 수족 저림 언어장애 운동실조 감각이상등이 겸하여 나타난다.
그러나 30년에 걸친 임상 끝에 말초성과 중추성을 불문하고 체형 바르지 못하여 머리의 각도가 평형을 이루지 못하고 평형과 비 평형 사이의 착오만큼의 어지럼증의 강도를 좌우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05 | 어지럼증의 치료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외형상 허리나 등이 많이 굽거나 측만된 사람일 수록 어지럼증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젊은 사람의 경우는 특히 여성의 경우 두정부를 눌러보면 바람빠진 풍선처럼 무른 느낌을 받을 수 있고 대부분의 환자에서 눈을 살펴보면 눈에서 건강하지못한 빛이 나는듯한 느낌을 바로 알 수 있다.
침술치료
척추의 좌우 균형을 잡기 위해서는 풍융혈을 사용하며 앞뒤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충소혈을 사용한다.
만성이나 심한 경우는 도침요법을 사용하여 강한 치료를 시행한다.
약물치료
풍담화로 인해 생기는 메스거림 어지러움 두통등을 치료하는 방풍 반하 천마 등거풍 화담 청열지제를 사용한다.
추나요법
골격의 균형을 잡기위해 골반 및 경추를 교정한다.
식이요법
유자차나 생강차 국화차등이 효험이 있다.
귤을 먹은후 귤 껍질을 모아서 말린 후 생강과 같이 끓여먹으면 더욱 효과적이다.
과식이나 과로 스트레스를 피해고 소화가 안되는 음식은 삼가도록 해야한다.
운동요법
세면시 앞목 뒷목 옆목을 모두 뜨거운 물로 맛사지하듯 여러번 씻는다.
본 의원에서 궂이 받고싶은 환자를 묻는다면 어지럼증의 ‘만성환자’ 라고 말하고 싶다.
병을 고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와 진단을 받았지만 뚜렷한 답을 찾지 못한 환자라면 더욱 환영한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